7월 10일 (월요일): 생체의료기반 통신기술 (Bio-Medical Technology)

시간강좌명강사명
10:00-11:00 Molecular Communications for Internet of Bio-Nano Things 채찬병 교수 (연세대)
Nano-molecular communication represents, in terms of its scale and energy consumption, a very powerful future communication system. Though nano communication can also be realised with electromagnetic waves, as in traditional communication systems, such means still pose several problems, such as the development of nano-scale actuator, antennas, or body absorption of tera-Hertz band frequency. Nano-molecular, or molecular communication, however, can utilise intra-body biomolecules that enable a great deal of various applications. As research into this field has been underway for less than a decade, it calls for fundamental intellectual challenges through preliminary studies. In this talk, I will introduce the contributions of Einstein and Reynolds and explain how they contribute for communications, especially for a biological layer of 6G/B6G.
11:00-11:20 휴식
11:20-12:20 Magnetic MIMO for Brain Communications 채찬병 교수 (연세대)
Alzheimer’s disease, which accounts for 50% of dementia cases, is the most common form of senile dementia. Once it onsets, it continues to progress without any fundamental treatment availabl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MS) is a therapeutic approach that aims to regulate the secretion of neurotransmitters in the brain by applying a magnetic field generated through a conductive electromagnetic coil. In this talk, I will introduce a novel magnetic MIMO technique for brain treatment. To provide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topic, I will cover the basics of magnetic fields and their steering mechanisms. Additionally, I will showcase a real system that we have demonstrated at various events, including IEEE ICC 2022 and CES 2023.
12:20-13:30 중식
13:30-14:30 뇌임플란트 관련 기술 소개 최지웅 교수 (DGIST)
뇌심부자극기(deep brain stimulator, DBS)는 뇌심부 영역에 이식된 전극을 통해 전기 자극을 전달하는 신경외과적 장치로, 파킨슨병, 간질 등 뇌질환 완화에 효과적인 전자약 기술임. 계속적인 자극을 가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질환의 상태를 센싱하고 판단하여 필요시에만 자극하는 폐루프 DBS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음. 이러한 미래 전자약 기술 개발시 ICT 기술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으며, DGIST 뇌공학융합연구센터에서 개발한 폐루프 DBS 기술을 소개함.
14:30-14:50 휴식
14:50-15:50 Towards Ambient Physiological Signal Sensing 고정길 교수 (연세대)
Recent trends in mobile and embedded sensing systems show that the collection of clinical data is evolving from explicit data collection to ubiquitous and ambient clinical data collection. This presentation will introduce two recent systems developed for ambient ECG and HRV measurements using embedded and mobile sensing techniques. The first part of the talk will introduce HeartQuake, a low cost, accurate, non-intrusive, geophone-based sensing system for extracting accurate electrocardiogram (ECG) patterns using heartbeat vibrations that penetrate through a bed mattress. In HeartQuake, cardiac activity- originated vibration patterns are captured on a geophone and sent to a server, where the data is filtered to remove the sensor’s internal noise and passed on to a bidirectional long short term memory (Bi-LSTM) deep learning model for ECG waveform estimation. The second part of the talk will introduce VitaMon, a smartphone sensing system that exploits remote PPG samples to accurately measure a user’s heart rate variation under real-world conditions.
15:50-16:10 휴식
16:10-17:10 의료 장비를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Wireless interface for bio- medical devices) 김한준 교수 (금오공대)
본 강의에서는 의료 장비의 통신 및 전력전송을 위한 다양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고, 각 방식의 장단점을 고려한 적합한 어플리케이션과 최근 연구를 소개합니다.

7월 11일 (화요일): 로봇 및 에너지 (Robot and Energy)

시간강좌명강사명
10:00-11:00 HRI와 Telemedicine을 위한 로봇 통신 박정혁 교수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로봇과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Human-Robot Interaction 밑 Tele-Medical robotics 의 활용 및 확장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응용분야 및 사례연구에서 통신기술의 활용과 제약, 그리고 의료적 관점에서의 고려사항에 대해 살펴보고 접근법을 논의하고자 한다.
11:00-11:20 휴식
11:20-12:20 통신엔지니어가본로봇개발 김영재 상무 (LG전자 로봇선행연구소)
통신 시스템에서 쓰이는 신호처리와 로봇 개발에서 쓰이는 센서 데이터 처리의 유사점과 차이점 설명한다.
12:20-13:30 중식
13:30-14:30 배터리 기술의 현재와 미래 이용민 교수 (DGIST)
리튬이온전지(LIB)로 대표되는 현재 배터리 기술의 핵심과 기술 수준을 살펴보고, 미래 배터리로 각광받고 있는 리튬금속전지, 전고체전지, 리튬/황 전지 등의 기술 수준과 향후 전망에 대해 알기 쉽게 논하고자 한다.
14:30-14:50 휴식
14:50-15:50 에너지 인공지능 최적화 (저장, 예측 및 제어 관점에서) 김홍석 교수 (서강대)
본 발표에서는 에너지ICT 분야에 최근 널리 사용되는 인공지능 및 최적화 기술들에 대해서 살펴본다. 특히, 날로 심각해지는 기후위기로 인해 태양광 및 풍력 등의 재생에너지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통신과 전력의 융합인 스마트그리드는 안정적인 운영이 위협받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용량 배터리의 활용, 인공지능 기반 배터리 수명 및 건강상태 예측,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등의 최신 기술에 대해 살펴본다. 아울러, 전력망의 최적제어를 위해 풀어야 하는 Nonconvex Optimal Power Flow 문제를 최근 큰 주목을 받고 있는 Physics- Informed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7월 12일 (수요일): 로봇, 위성 및 스마트시티 (Robot, Satellite and Smart City)

시간강좌명강사명
10:00-12:00 휴머노이드 소개 김주형 교수 (UIUC)
The objective of this lecture is to provide attendees with an introduction to the world of humanoid robotics, covering a wide range of knowledge and topics in this field. The lecture will start by familiarizing the audience with the basics of humanoid systems, followed by an exploration of models used for simulation and control. The fascinating aspects of legged locomotion and whole-body motion generation will be discussed. Human-humanoid interaction will also be briefly covered. Additionally, the lecture will introduce recent advancements in humanoid robotics by showcasing prominent companies and their innovative robots. This comprehensive overview will equip attendees with a solid foundation in humanoid robotics and inspire further exploration in this exciting domain.
12:00-13:30 중식
13:30-15:30 6G 저궤도 위성통신 주요기술 최지환 교수 (KAIST)
본 강좌에서는 6G 저궤도위성 통합망 개발 및 활용 서비스 동향을 파악하고, 온보드 컴퓨팅, 위성간 광통신, 슬라이싱등의핵심기술및차세대위성망구조연구결과에대해소개한다.
15:30-15:50 휴식
15:50-16:50 하이퍼튜브 내 통신채널의 새로운 특성 및 그 분석방법론 김효일 교수 (UNIST)
본 발표에서는 차세대 신개념 이동수단인 하이퍼루프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 동향을 살펴보고, 그 중 특히 하이퍼루프 튜브 내부에서의 통신 환경을 모델링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론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튜브 내부에서 일어나는 전자기파 전파(propagation) 특성을 새롭게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수행되어야 할 다양한 통신 기술 관련 이슈들을 논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