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통신학회 회원 및 정보통신 분야 종사자 여러분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023년 말, ITU-R은 6G 프레임워크(6G 비전) 권고문을 승인하고, 2026년 2월을 목표로 기술 성능 요구 사항에 대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3GPP는 2029년 3월 최초의 6G 표준 규격 완료를 예정하며, 올해부터 워크샵과 Study Item 작업을 통해 본격적인 6G 표준화를 시작합니다. 특히, 2025년 3월 10일에서 11일까지 한국에서 열리는 3GPP 워크샵에서는 6G RAN의 방향성과 후보 기술들이 제안될 예정으로 이 워크샵은 6G RAN의 형상을 가늠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시발점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한국통신학회는 3GPP 6G RAN 워크샵 결과 및 동향을 국내 관련 분야 종사자 여러분께 신속하게 공유하고, 6G RAN 기술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본 워크샵을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본 워크샵은 총 다섯 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번째 세션은 3GPP 워크샵 결과 요약 및 소개, 두번째부터 네번째 세션까지는 우리나라 및 외국계 3GPP 회원사들 (통신 사업자, 제조사, 연구계)의 구체적인 6G 제안 발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세션 1에서는 ETRI 고남석 실장과 TTA 이혜영 팀장께서 3GPP SA 및 RAN 워크샵 결과를 요약하여 소개해 주실 예정입니다. 세션 2에서는 SKT 이현호 매니저, KT 황정우 책임, LG U+ 안재현 책임이 국내 통신사 관점의 6G 제안 내용을 발표합니다. 세션 3에서는 삼성전자 지형주 수석, LG 전자 정성훈 책임, ETRI 이정훈 박사의 발표 후, 세션 4에서는 에릭슨엘지 박병성 박사, 노키아 육영수 상무, 퀄컴 박성일 전무께서 제조사 및 연구소의 6G 제안 내용을 발표하시게 됩니다. 마지막 세션은 세션 발표자 전원이 참여하는 패널토론을 통해 6G 표준화 전망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것입니다.

동국대 혜화관에서 연사자분들의 현장 발표와 원격으로 동시에 하이브리드 진행되는 본 워크샵에 많은 분들이 참여하여 3GPP 6G 표준화에 대한 최신 정보를 얻으시고 활발한 토론이 이루어지는 귀중한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끝으로, 강연을 맡아 주신 연사자분들과 행사를 준비한 프로그램위원 여러분들께 깊이 감사를 드립니다.

2025년 3월
한국통신학회 회장    허  준
조직위원장    황  승  훈
운영위원장    고  영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