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
주제 |
연사 |
10:00 ~ 10:10 |
개회사
사회: 황승훈 교수(동국대, 한국통신학회 부회장)
|
축 사
허준 교수(고려대, 한국통신학회 회장)
|
Session 1: 6G 위성통신시스템
|
좌장: 최지환 교수 (KAIST)
|
10:10 ~ 11:00 |
6G 저궤도 위성통신 지상국 개발
동향
|
정광식 수석, 박도현
수석(LIG넥스원) |
저궤도 위성통신을 위한 지상국의 개발 방향을 확인하고 한반도 내 기후 조건 등
을 고려한 지상국 안테나 크기 및 RF 출력 용량을 분석한다. 또한 저궤도 위성과
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안테나 자동 추적을 위한 안테나/RF 조건 등을 확인한다.
|
11:00 ~ 11:50 |
위성통신 표준기반 물리계층 전송
기술 동향
|
김판수 수석
(ETRI) |
본 발표에서는 위성통신 표준에서 개발된 주요 전송 모뎀 기술에 대해서 설명한
다. 최근, 위성통신 표준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3GPP 비지상망. 표준에서 개발
된 주요 내용을 설명하고 향후, 3GPP 표준과 연계되는 전송 기술의 주요 개선
후보 기술 등에 대해 발표하고자 한다.
|
11:50 ~ 13:20 |
중 식 |
Session 2: 군집위성네트워크
|
좌장: 권기림 교수 (서울시립대)
|
13:20 ~ 14:10 |
소형 위성 레이저 통신을 위한
CCSDS 표준 기술
|
노정훈 교수
(충북대) |
소형 위성의 통신 수요 증가에 따라, 고속·저지연·광대역 특성을 갖는 자유공
간광통신(FSO)이 유망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위성 간 및
위성-지상 간 레이저 통신을 위한 국제 표준화 기구 CCSDS(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의 표준 기술과 그 동향을 개괄적으로
소개한다. 특히 고광자효율(High Photon Efficiency), 고속(High Data Rate),
저복잡도(Low Complexity) 전송을 위한 CCSDS 내 표준 프레임워크의 구성과
각 기술별 적용 사례, 그리고 최근의 표준화 논의 흐름 등을 중심으로 FSO 기반
통신시스템의 설계 방향을 조망한다.
|
14:10 ~ 15:00 |
Modeling of LEO and MEO
Satellites Using Stochastic
Geometry
|
최창식 교수
(KAIST) |
In the first part of this talk, we develop an analytical framework for
downlink low Earth orbit (LEO) or medium Earth orbit (MEO) satellite
communications, leveraging tools from stochastic geometry. In the
second part, we develop a stochastic geometry model for the Walker
constellations. This proposed model enables an analysis based on
dynamical system theory, which allows one to address essential
structural properties such as periodicity and ergodicity.
|
15:00 ~ 15:20 |
휴식 |
Session 3: NTN and Beyond
|
좌장: 최진석 교수
(KAIST)
|
15:20 ~ 16:10 |
Beyond GNSS: Toward Robust
Positioning in Urban and Indoor
Environments
|
황승훈 교수
(동국대) |
PNT와 GNSS에 대한 개요를 소개하고 도심협곡환경과 실내환경 성능을 고찰
해본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multi-GNSS 측위기법, 5G 기반 측위기법, LEO
기반 측위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16:10 ~ 17:00 |
한컴인스페이스 위성개발현황
|
김홍봉 CTO
(한컴인스페이스) |
국내 최초 상용위성을 발사한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 위성 시리즈 개발 현황
과 각 위성의 특징기술 다룬다. 특히 세종 3호와 관련된 초분광 위성 개발동향과
6G 위성통신과 관련된 세종 5호의 LEO PNT 핵심기술 개발계획, 그리고 K/Kaband 통신위성 기술개발에 대해 소개한다.
|